연구 윤리란?
- 연구윤리란 연구자가 연구를 신청하고, 수행하며, 그 결과를 출판하거나 보고하는 과정에서 지켜야 할 원칙이나 행동양식
한성대학교 연구윤리강령
바로가기
한성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따라 인간대상연구 및 인체유래물연구에 있어 윤리적·과학적 타당성을 심의하고, 인간의 생명윤리 및 연구대상자의 안전과 권리보호를 보장하기 위해 설치된 심의기구
- 한성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 웹사이트에는 본교에 소속된 연구자(교수, 대학원생, 학부생 등)가 수행하는 연구에 대한 IRB 심의 및 심의면제 대상, 심의절차 및 심의종류가 안내되어 있음
- 자세히 알아보기 바로가기
한국연구재단 연구윤리정보 포털
- 연구윤리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로 다양한 교육 콘텐츠와 자료를 이용할 수 있음
- 자세히 알아보기 바로가기
<연구윤리관련 참고자료>
1) 규정 및 지침
2) 가이드라인
연구부정행위의 예시
구분 |
내용 |
위조 |
존재하지 않는 연구 원자료 또는 연구자료, 연구결과 등을 허위로 만들거나 기록 또는 보고하는 행위
(eg: 면담 및 실험을 수행하지 않고 결과를 작성하고 가상으로 만들어내는 것, 통계적 유효성을 위해 실제 실험 결과에 허구의 데이터를 추가하는 것)
|
변조 |
연구 재료·장비·과정 등을 인위적으로 조작하거나 연구 원자료 또는 연구자료를 임의로 변형·삭제함으로써 연구 내용 또는 결과를 왜곡하는 행위 |
표절 |
일반적 지식이 아닌 타인의 독창적인 아이디어 또는 창작물을 적절한 출처표시 없이 활용함으로써, 제 3자에게 자신의 창작물인 것처럼 인식하게 하는 행위
가. 타인의 연구내용 전부 또는 일부를 출처를 표시하지 않고 그대로 활용
나. 타인의 저작물의 단어·문장구조를 일부 변형하여 사용하면서 출처표시를 하지 않음
다. 타인의 독창적인 생각 등을 활용하면서 출처를 표시하지 않음
라. 타인의 저작물을 번역하여 활용하면서 출처를 표시하지 않음
|
부당한 저자 표기 |
연구논문 작성과 관련하여 다음의 역할을 한 경우 제1저자, 공저자, 교신저자로 표기하는 것이 정당한 방법임.
가. 1저자 : 저자 순서에서 제일 처음에 위치하며, 데이터를 수집하고 실험한 자, 그 결과를 해석하고 원고 초안을 작성한 자
나. 공저자 : 논문을 쓰는데 간접적 기여가 있는 연구자들
다. 교신저자 : 학술지에 논문을 출판하기 위해 원고를 제출하고 출판사와 교신을 담당하는 자.
연구내용 또는 결과에 대하여 위와 같은 공헌 또는 기여를 한 사람에게 정당한 이유 없이 저자 자격을 부여하지 않거나, 공헌 또는 기여를 하지 않은 사람에게 감사의 표시 또는 예우 등을 이유로 저자 자격을 부여하는 행위는 부당한 저자표기에 해당함.
지도학생의 학위논문을 학술지 등에 지도교수의 단독 명의로 게재·발표하는 것도 부당한 저자표기에 해당함.
* 부당한 저자 표시의 유형
∙ 선물저자(gift author): 공짜저자라는 용어로 사용되며 저자 자격이 없거나 부족한 연구자를 연구자와의 개인적인 친분 등으로 저자에 포함시켜 주는 것
∙ 유령저자(ghost author): 연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지만 아랫사람이라는 이유로 저자에서 제외되는 경우
∙ 교환저자(swap author): 학문이 세분화되며서 같은 관심분야를 전공하며 서로 도움을 주는 다른 연구자와 서로 자기 논문에 상대편을 저자에 포함시켜 주는 경우
∙ 도용저자: 논문이 채택될 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유명 인사를 허락 없이 저자에 포함시키는 행위
|
부당한 중복게재 |
연구자가 자신의 이전 연구결과와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저작물을 출처표시 없이 게재한 후, 연구비를 수령하거나 별도의 연구 업적으로 인정받는 경우 등 부당한 이익을 얻는 행위
|
연구부정행위에 대한 조사 방해 행위 |
본인 또는 타인의 부정행위에 대한 조사를 고의로 방해하거나 제보자에게 위해를 가하는 행위
|
그 밖에 각 학문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용인되는 범위를 심각하게 벗어나는 행위 |
* 출처 : 교육부훈령 '연구윤리 확보를 위한 지침'(제11조 제1항)
학술지 논문 피인용 현황 확인
구분 |
대상 학술지 |
피인용 현황 확인 방법 |
KCI 학술지 인용정보 |
- 한국연구재단에서 운영하는 KCI DB에서 2004년 이후의 논문에 대한 피인용현황(총 피인용 횟수 및 H지수) 확인 가능
- H지수(H-index) : 논문별 피인용 횟수를 바탕으로 산출하는 연구자 개인의 연구 영향력을 확인 가능
|
바로가기 에서 해당 논문을 검색하여 확인
|
Web of Science |
- Web of Science DB에서 논문의 피인용 횟수 확인 가능 |
바로가기 에서 해당 논문을 검색하여 확인
|
Google Scholar |
- Google Scholar 등재 학술지
- 학교 도서관과 연결하여 논문 검색 및 원문 복사 서비스 신청 가능
|
바로가기 에서 해당 논문을 검색하여 확인
|
약탈적 학술지
위조 학술지 |
유명학술지와 유사한 학술지 이름을 사용하여 저자에게 혼동을 주는 학술지 |
약탈적 학술지 |
돈만 지불하면 무조건 게재해주고 출판 윤리를 어기는 학술지 |
약탈적 학술지 관련 정보
-
신뢰할 수 있는 저널 체크리스트 think.check.submit 바로가기
- 본인의 연구에 적합한 저널을 찾을 때 알아야 할 사항을 정리해둔 체크리스트
-
SAFE 건전학술활동지원시스템 (Scholarly ecosystem Against Fake publishing Environment)
- 국내 연구자들과 함께 관련 정보를 공유하며 연구자들의 귀중한 연구성과물을 의심학술출판사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고, 연구자들이 투명한 연구문화 조성, 건전한 학술출판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
약탈학술지의 특징
동료심사 |
• 동료심사가 없거나 형식적 |
마케팅 |
• 이메일/홈페이지/영향력지수 등 공격적 마케팅 |
운영정보 |
• 편집부/심사자의 불투명한 정보 |
학술지 학문 범위 |
• 다양한 학문 분야 |
비용처리 |
• 이메일을 통해 알게 되는 경우가 많음 |
* 출처: SAFE 건전학술활동지원시스템
약탈학술지 관련 기준
바로가기
부실 학술행사란
- 영리를 목적으로 학술행사 참가비만 내면 동료심사 없이 학술발표를 보장하나, 실제로는 조직 위원, 심사위원 없이 허위로 운영되는 학술행사를 지칭
- 유명 국제학술행사인 것처럼 허위 정보로 웹사이트를 꾸미고 논문 발표 또는 초청 발표로 연구자의 참가를 유도
- 자세히 알아보기 바로가기
부실 학술행사의 특징과 체크리스트
동료심사 |
• 동료심사 없이 모든 논문의 초록(또는 논문)을 수락
• 논문 초록이 짧은 시간 내에 선정될 것을 보장
|
공격적인 마케팅 |
• 리조트나 인기있는 관광지에서 개최
• 학회 명성을 기술한 스팸메일 발송 및 행사 등록 권장
• 저명한 학자들이 참석한다는 점을 거짓으로 선전하고 학회논문을 학술지에 게재해준다고 선전
|
낮은 신뢰성 |
• 등록비를 내면 학회 참여 증명서를 보냄
• 다양한 학문 분야를 다룸
• 학회논문이 학술지에 게재될 것임을 보장
|
운영진의 불투명한 정보 |
• 무료 이메일 계정 사용
• 학계와 연관성이 없음
• 연락정보가 명확하지 않음
|
* 출처: SAFE 건전학술활동지원시스템
- 학자들이 여러 단계와 체크리스트를 통해 신뢰할 수 있는 학술행사의 특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돕는 사이트
- 부실학회 자가점검 체크리스트 다운로드
Wiley 2025
- KERIS 대학라이선스 품목인 Wiley Online Library Read & Publish 구독 기관 소속 저자가 Wiley Hybrid 저널에 오픈액세스로 논문 출판 시, 논문출판비용이 면제
전환 계약 주요 내용
- 대상저널: 약 1,270종 이상의 Wiley 하이브리드 저널 바로가기
- 적격 논문 유형
- Primary research, review articles (원본 논문에 국한되지 않음)
- Case Studies
- Reviews
- Short communications
- 적격 논문 승인 시점: 2025년 1월 1일 이후 Wiley 하이브리드 저널에 승인된 (Accepted) 논문
- 적격 논문 유형 바로가기
Wiley 하이브리드 저널 논문 출판 절차
지원내용
- 지원대상: 현 한성대학교 소속 "책임교신저자"로 책임교신저자의 이메일은 반드시 한성대학교 기관메일 계정(@hansung.ac.kr) 사용 조건
- 지원규모: 선착순 40건(대학라이선스 Wiley Online Library Read & Publish 비구독 수혜기관 60개 대상)
* 논문이 수락되었을 때 수혜기관의 2025년 OA 출판비용(APC) 지원 건수를 모두 소진한 상황이라면 지원 불가
- Wiley 오픈 액세스 논문 출판 안내가이드 바로가기
주의사항
- 2025년 1월 1일 이후 심사승인(Accepted)되고 구독기반(Subscription)으로 출판된 논문은 사후에 오픈 액세스로 변경할 수 있으며 변경 시 기관에서 출판비용을 지원 가능
- 기관 지원을 통한 오픈 액세스 사후 변경을 위해서는 반드시 구독기반(Subscription)으로 논문이 출판. 개별적인 비용을 통해 하이브리드 오픈 액세스로 출판된 논문을 사후에 지원 불가능
- 사후 오픈 액세스 변경에 대해 지원 처리 시 기관 출판 권한이 차감
- 사후 오픈 액세스 변경을 위해서는 책임교신저자가 직접 절차를 진행
- 절차 완료시 일반 지원 요청과 같이 관리자는 Wiley Open Access Account에서 승인, 거절 처리를 진행
- 관리자 계정 생성 전 출판 논문에 대한 사후 지원이 가능
- 2025년 출판 권한이 모두 소진되었을 경우, 필요에 따라 2025년 구독기반(Subscription)으로 출판된 논문을 2026년 출판 권한 사용을 통해 지원
투고 학술지 추천(국외)
- 학술지에 논문 투고를 앞둔 연구자의 논문 제목, 초록, 키워드 등의 정보를 바탕으로 출판사 학술지 추천 도구 및 분석 솔루션 등을 활용하여 국외 투고 학술지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서비스 대상
신청방법
- 아래 신청서를 다운로드 받아 연구자 논문 영문 제목, 초록, 키워드 정보 등을 작성하여 인트라넷 메일로 발송(학술정보팀 최형규)
- 신청서 다운로드 다운로드
소요기간
제공정보
학술지명/출판사, 등재/인용 정보, Open Access, Article Publishing Charge(본교 지원 대상 여부), 게재율, 평균 심사/출판 소요기간 등
사이트명 |
내용 |
바로가기 |
Web of Science Master Journal List / Match Manuscript |
- Manuscript Matcher 클릭 후 논문명과 초록 입력 · 출판사, SCIE/SSCI 등 등재, 주제분야 카테고리, ISSN 등 제공 · 추천 결과에서 OA여부, 카테고리, 언어, 출판빈도, JCR 필터링 가능 |
바로가기
|
Elsevier / Journal finder |
- Elsevier Journal finder에서 논문명과 초록 입력 · CiteScore, Impact Factor, Review speed, Acceptance rate, Publication speed 등 제공 |
바로가기
|
Wiley / Journal finder (Beta) |
- Wiley Journal finder에서 초록 입력 · Editor, Impact Factor, JCR ranking by category 등 제공 · 원하는 학술지 선택 후 Journal Metrics에서 Citation Impact Usage, Speed 등 확인 가능
|
바로가기
|
Taylor & Francis / Journal Suggester |
- Taylor & Francis AUTHOR SERVICES Journal Suggester에서 초록 입력 · OA여부 및 Metric에서 Impact Factor, Review speed, Acceptance rate 등 제공
|
바로가기
|
IEEE / Publication Recommender |
- IEEE Publication Recommender에서 논문명, 키워드 입력 · 학술지 및 컨퍼런스 추천 제공 · OA여부, Impact Factor, 투고-출판 시간 등 제공
|
바로가기
|
연구지원 담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