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작성 |
키워드 선정 |
★키워드를 잘 작성하면 논문의 검색 노출 가능성 UP!
⇨ 흔하지 않으면서 연구의 주제를 잘 보여주는 핵심 키워드 선정 후 제목과 초록에 추가
⇨ 인용색인DB(Web of Science, Scopus 등)의 검색 규칙에 맞춰 전략적으로 키워드를 작성하면 좋음
Web of Science |
Scopus |
• 전체/주제검색 노출을 위한 키워드 전략
① 주제검색 노출 전략
제목(Title)과 저자 키워드(Author Keywords)에 핵심 키워드를
집중 배치하세요!
※ Topic Search 기준 검색범위
필드 |
노출 가중치 |
제목(Title) |
★ 가중치 높음 |
저자 키워드(Author Keywords) |
★ 가중치 높음 |
초록(Abstract) |
|
추가 키워드(Keywords Plus)* |
|
* Web of Science에서 자동 추출하여 생성되는 키워드로, 논문의 본문(주로 참고문헌 제목,
인용문헌 등) 출현 빈도가 높은 단어가 선정됨
② 전체검색 노출 고려 시
논문형식정보(Doctype), 자금지원정보(Funcding),
소속기관정보(Address) 필드를 꼼꼼히 작성하세요.
필드 |
작성 시 장점 |
논문형식정보(Doctype) |
명확하게 기입하면 고급검색 (필터:논문형식) 노출 확률 UP |
자금지원정보(Funcding) |
고급검색(필터:특정과제명 등) 시 노출 확률 UP |
소속기관정보(Address) |
기관명 표기가 부정확하면 고급검색(필터:기관명) 시 누락 |
• 핵심 키워드 및 문구는 최대한 동일한 형태로 반복하여 노출시켜주세요.
→ 정확 일치 검색("") 시 노출 확률 UP
→ 핵심 문구를 큰따옴표("")로 묶어 제목, 저자 키워드, 초록에 포함시켜도 좋음)
• 표제어 및 동의어를 적극 활용해주세요.
기본적으로 검색결과는 논문 표제어 및 어간을 추출하여 검색되지만,
정확 일치 검색("") 혹은 와일드카드(*) 사용 시 해당 기능은 비활성화됨
|
• 제목, 초록, 키워드에 핵심키워드를 배치하세요.
필드 |
노출 가중치 |
제목(Title) |
★ 가중치 높음 |
초록(Abstract) |
★ 가중치 높음 |
저자 키워드(Author Keywords) |
★ 가중치 높음 |
인덱스 키워드(Indexed Terms)* |
★ 가중치 높음 |
서론 및 본문(Full Text) |
거의 영향 없음 |
* 전문 색인 담당자가 Emtree, MeSH, El Thesaurus 등 전문 용어집을 기반으로 수작업으로
추가하는 키워드로, 추가된 키워드는 전체 논문 중 약 80% 이상의 논문에 포함된 키워드임
→ Emtree/MeSH 사용 시 "Major Focus/Major Topics" 중심으로
키워드 선택
• 정식 용어와 축약어를 병기하여 작성하세요.
ex. Artificial Intelligence(AI)
• 초록(Abstract)을 반드시 작성하세요.
Scopus는 초록 포함 문건을 우선 색인합니다.
• 제목과 초록 중간에 논문형식정보(Doctype)를 밝혀주세요.
고급검색(필터:논문형식) 시 노출 확률 UP!
• 자금지원정보(Funding)와 소속기관정보(Affilation)를 꼼꼼히 작성하세요.
고급검색(필터:특정과제명, 기관명 등) 시 노출 확률 UP!
|
☞ 인용색인DB 검색규칙 확인하기: Web of Science Search Rules, Scopus Contents Coverage Guide
⇨ 논문 제목과 주제 보완·확장성이 있는 키워드를 선정할 필요가 있음
|
※ 키워드 선정에 참고할 만한 자료가 있을까요?
☞ 학문 분야별 표준 용어 확인하기
(일반 동의어 검색)Thesaurus.com / (공학분야)IEEE Thesaurus(접근신청 1회 필요)
(교육학분야)ERIC Thesaurus / (의학·생명과학 분야)MeSH
|
연구자 식별자 활용 |
★ ORCID를 활용하여 교수님의 모든 논문 노출 UP!
⇨ ORCID(Open Researcher and Contributor ID)란?
- 개별 연구자(저작자)의 식별을 위한 영구적인 디지털 고유 식별번호
- ORCID 등록 시스템을 유지 관리하는 국제 비영리기구의 명칭
- 특정 논문을 검색한 사람이 그 저자의 다른 논문까지 한꺼번에 조회할 수 있도록 검색을 확장해주는 도구
⇨ 연구자 프로필과 논문 리스트를 관리할 수 있음
⇨ ORCID 계정 생성 방법 ORCID 프로필 생성하러가기
ORCID 사이트(https://orcid.org/) 접속 → 'Register Now' → 성명, 이메일, 소속 입력 → 이메일 수신메일함 내 인증메일 확인 → 생성 완료
⇨ 논문 데이터를 일일이 입력하는 것이 번거로우시가요? ☞ ORCID에 데이터 일괄 반입하기
|
⇨ Google Scholar Research Profile은?
- 구글(Google)에서 제공하는 연구자용 프로필 서비스
- 논문 및 저널 투고 시 영향을 주지 않는 비공식 개인용 프로필 관리 페이지
⇨ 연구활동 및 인용 관련 성과 홍보용 페이지로 활용할 수 있음
⇨ Google Scholar Research Profile 생성 방법 Google Scholar Researcher 프로필 생성하러가기
Google Scholar 사이트(https://scholar.google.co.kr/?hl=ko) 접속 → Google 로그인 → 내 프로필 → 성명, 소속, 이메일 입력 → 내가 쓴 자료 추가
→ 프로필 설정 후 완료 버튼 클릭
|
※ ORCID와 Google Scholar Researcher Profile의 차이점을 확인해 용도별 실적데이터를 관리해보세요!
구분 |
ORCID |
Google Scholar Profile |
주요 기능 |
• 연구자 고유 식별자 제공
• 연구성과 통합 관리
|
• 논문 인용 분석
• 연구성과 홍보
|
운영 주체 |
비영리 국제기구(ORCID) |
Google |
식별자 제공 |
O |
X |
국제표준 여부 |
O |
X |
신뢰도 |
기관 공식 활용도가 높고,
논문 등록에 직접 활용되는 경우가 많음
|
연구성과 데이터 수집과 관련하여
자동 크롤링 오류 가능성이 존재함
|
활용 범위 |
논문 등록 시 필수 제출 요구(출판사, 저널, 연구재단 등)
※Web of Science, Scopus 등 전세계 학술 생태계에서 널리 활용됨
|
Google Scholar를 포함한 구글 기반 검색에 영향
|
인용지수 제공 |
X |
O
(h-index, i10-index* 등)
|
* 연구자의 논문 중 10회 이상 인용된 논문의 수. 구글스칼라에서 제공하는 연구자 인용지표임.
|
논문출판 |
오픈액세스 출판 |
★ OA 출판 시 자유로운 공유·확산을 통해 논문 피인용률 평균 18% 증가*
* 출처: Jim Ottaviani(2016). The Post-Embargo Open Access Citation Advantage: It Exists (Probably), It’s Modest (Usually), and the Rich Get Richer (of Course).
PLOS ONE 11(8): e0159614. https://journals.plos.org/plosone/article?id=10.1371/journal.pone.0159614
OA 출판 시 사회과학 분야 66.7%, 의학 및 보건 분야 52.8%, 자연과학 45.5% 등 인용 증가 효과가 확인됨*
* 출처: Piwowar, H., Priem, J., & Orr, R. (2021). Is the open access citation advantage real? A systematic review of citation studies. PLOS ONE, 16(6), e0253129.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253129
⇨ 권위있는 OA저널에 출판 ☞ OA저널 확인해보기(DOAJ)
⇨ 한성대 리포지터리에 공개
☞ DSpace@HANSUNG (https://dspace.hansung.ac.kr)
☞ 리포지터리에 대해 알아보세요 (준비중)
☞ 담당자 문의(학술정보팀 이영원 ☎02-760-5663)
|
※OA 출판 비용이 부담되시나요?
☞ OA 출판 비용(APC)이 없는 저널 확인하러가기(DOAJ)
☞ Wiley Hybrid 저널 OA 출판비용 지원 받으러가기
|
등재지 출판 |
⇨ JRC(Journal Citation Reports) 등재 저널에 출판
☞ 등재지 확인 방법: https://hsel.hansung.ac.kr/escholarly_list_search_pub.mir 접속 ▶ 목록 내 JCR 클릭
|
※논문을 출판할 저널을 찾고 계신가요?
학술정보관에서 논문 주제분야에 따라 출판비용(APC)이 없거나 저렴한 맞춤형 학술지를 추천해드립니다! ☞ [투고 학술지 추천·안내 받으러가기]
|
논문 출판 후 |
연구자 커뮤니티 활용 |
⇨ ResearchGate
연구자들을 위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연구자 간에 논문을 공유하고, 질의응답을 진행하고, 공동 작업자를 찾을 수 있는 유럽의 상업용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
⇨ Academia.edu
연구자, 학생, 교육자, 전문가를 위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논문 공유, 주제 토론, 공동 프로젝트 진행 등 학술적 관계 형성에 도움이 되는 사이트.
무료버전과 프리미엄 버전을 제공함.
읽어보길 원하는 특정 논문이 있다면 논문의 저자에게 "직접" 요청해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