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대학교 학술정보관



논문출판과 연구성과측정


⇨ 교수님의 연구논문을 어떤 저널에서 투고해야할지 고민하고 계시다면 저널의 상대적 영향력을 먼저 확인해보세요.

Web of Science(WoS) 기반 영향력 지수 확인하러 가기

지표명 설명
Journal Impact Factor (JIF)
확인방법
● 피인용지수 혹은 임팩트 팩터(Impact factor, IF)는 유진 가필드(Eugene Garfield)가 1955년에 고안한 것으로, Web of Science 인용정보를 기반으로 산출, 저널의 영향력을 평가하는 지표임
● 2년 단위로 누적된 논문 수 및 인용횟수를 이용하여 주제 분야 내에서 저널의 상대적 중요도를 결정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수단을 제공함 (자기인용 포함)

ex. 2025년 A저널 IF = 2023~2024년 A저널의 총 피인용수 / 2023~2024년 A저널에 수록된 논문 편수
Journal Citation Indicator (JCI)
확인방법
● 특정 저널이 최근 3년간 출판한 논문들의 인용 영향력을 분야별로 정규화 및 평균화한 저널 영향력 평가지수
● 모든 연구 분야에서 공정한 비교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저널 내 논문들의 평균 피인용분석(Category Nomarlized Citation Impact, CNCI) 지수를 기반으로 산출됨

ex. JCI = 1.0인 경우, 해당 저널의 논문이 분야 평균과 동일한 수준으로 인용됨 (1.0 이상이면 평균 이상, 1.0 이하면 평균 이하)
Eigenfactore Score
확인방법
● 워싱턴대학교 Carl T. Bergstorm 교수가 개발했으며 The Metrics Eigen factor Project를 수행하며 The Eigenfactor Alorithm을 개발하였음
● Impact Factor 보완을 위해 2007년부터 JCR을 통해 제공되는 학술지 영향력 평가지수
● 영향력 높은 저널에 인용되는 경우 가중치를 부여
● 최근 5년 동안 출판된 논문 대상으로 자기인용을 제외하고, 분야별 인용 패턴 차이를 보정한 지표
Article Influence Score
확인방법
● Impact Factor 보완을 위해 2007년부터 JCR을 통해 제공되는 저널 영향력 평가지수
● 한 저널에서 출판된 후 5년 동안의 논문들에 대한 상대적인 평균 영향력 값
● 저널의 주제 분야별 인용패턴을 고려하여 산출됨

KCI 기반 영향력 지수 확인하러 가기

지표명 설명
Impact Factor (IF)
확인방법
● 특정기간 동안 한 저널에 수록된 하나의 논문이 다른 논문에 인용된 평균횟수
● 동일분야 저널의 상대적 중요성을 비교 평가하는 방법 제공
KCI+WoS 통합 영향력 지수(IF)
확인방법
● 특정기간 동안 한 저널에 수록된 하나의 논문이 국내 KCI와 국내 Web of Science(WoS) 논문에서 인용된 평균 횟수로서, 국내외 인용도를 통합하여 평가하는 방법을 제공
● (저널의 논문이 KCI에서 인용된 총 횟수+WoS에서 인용된 총 횟수)-(KCI와 WoS에서 중복하여 인용된 횟수) / 저널에 수록된 논문의 수
통시적 저널 영향력 지수
(Dischronous Journal Impact Factor, IMP)
확인방법
● 특정연도에 발행된 논문의 게재 이후 N년간의 누적 인용된 평균 횟수
● IMP = 게재 후 차차년도 말까지 인용된 횟수 / 특정년도에 저널에 게재된 논문 수
즉시성 지수(Immediacy Index)
확인방법
● 저널의 논문이 인용에 걸리는 시간 또는 저널에 수록된 논문이 당해연도에 인용되는 빈도를 측정하며, 얼마나 빨리 인용되는지를 의미함
● Immediacy Index = 특정년도에 저널의 논문이 인용된 총 횟수 / 특정년도에 저널에 수록된 논문의 수

Scopus 기반 영향력 지수 ※미구독 자료임

지표명 설명
CiteScore
확인방법
● 지난 3년간 특정 논문의 평균 인용횟수로 영향력을 계산하는 지표
● Scopus에 색인된 저널, 뉴스, 사설 등 잠재적으로 인용가능한 모든 문서에 기초함
등재지의 CiteScore 확인하기
중심성 지수
(SCImago Journal Rank, SJR)
확인방법
● 특정 논문이 인용된 저널수와 명성도를 기준으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산출되는 인용지수
● 어떤 저널에 인용되었는지에 따라 가중치가 다르게 적용되기 때문에 주제분야, 질적 수준, 명성도를 반영함
● 특정 저널이 인용DB 내에서 얼마나 중심 역할을 수행하는지를 평가함
    ※ 가중치: 인용하는 저널이 반대로 주어진 저널을 인용하는 상대 인용횟수
          명성도 : 전체 인용 네트워크 내 관계성과 밀도에 따라 산출됨
Source Normalized Impact per Paper(SNIP)
확인방법
● 학문 분야별 인용 관행의 차이를 보정하여 저널 인용 영향력을 비교할 수 있도록 만든 인용지수
● SNIP = 특정 저널의 논문당 평균 인용횟수 / 해단 분야의 인용 가능성
    ex. A분야의 a저널이 5회 인용되었을 때 SNIP = 1.5
           B분야의 b저널이 5회 인용되었을 때 SNIP = 0.5
           → 해석: 동일한 인용횟수여도 인용이 드문 A분야 a저널의 인용 영향력이 높이 평가됨
● 인용 패턴이 다른 분야 차이를 보정해 저널 간의 공정한 비교가 가능함

맨 위로 가기